• bold
  • brave
  • iconic
  • simple
  • louder
Loaded
AI Persona 'HANA' (2025)
Introduce AI Persona ‘Hana’
2025
AI Works

AI-Generated Persona Representing 1OFF’s Aesthetic.


이 프로젝트는 원오프의 아이덴티티를 대표하는 인물형 페르소나를 구현하기 위한 시도였습니다. AI를 활용하여 인물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원오프가 지향하는 모던하고 미니멀한 무드를 담아낼 수 있도록 집중했습니다. 보통 우리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전달할 때, 기존 방식은 정적인 로고·컬러·타이포그래피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브랜드가 더 이상 제품이나 로고만으로 설명되지 않고, 인격화된 경험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가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 지점에서 저는 “AI를 활용해 일관된 인물형 페르소나를 구축할 수 있을까?”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This project was an attempt to create a persona that represents the identity of 1OFF. By leveraging AI, I focused on maintaining consistency in character design while also capturing the modern and minimal mood that defines the brand. Traditionally, brand identity has often been communicated visually through static elements such as logos, colors, and typography. However, I believe that in the future, brands will no longer be defined solely by products or logos, but will instead connect with consumers through personalized, humanized experiences. From this perspective, I posed the question: “Can AI be used to build a consistent, character-based persona for a brand?” — and this project was an experiment to explore that hypothesis.

/ Approach

MidJourney, Nano Banana, Higgsfield 등 다양한 생성형 AI 툴을 활용하여 수십 번의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목표는 단순히 ‘비슷해 보이는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일관성을 유지를 통해 원오프의 브랜드 무드를 깨뜨리지 않으면서, 페르소나를 확실하게 각인시키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AI가 만들어내는 결과물을 단순한 기술의 산출물이 아니라, 결국 인간의 감각과 맥락 속에서 완성됨을 실험하고 싶었습니다. 생성형 AI를 단순한 도구로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브랜드가 지닌 미학을 일관되게 표현하는 시각적 언어로 확장하고자 했습니다.

I explored various generative AI tools such as MidJourney, Nano Banana, and Higgsfield
to build a consistent persona for 1OFF.
The aim was not just to create similar-looking images, but to ensure character consistency
while preserving the brand’s modern, minimal mood.
This project was an experiment to show that AI outputs are completed through human perception and context,
and can evolve into a visual language that conveys brand aesthetics.






/ Outcome

그 결과 탄생한 하나(Hana)는 원오프의 시크하고 절제된 미학을 인격화한 인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는 단순한 실험을 넘어, AI가 브랜드의 시각 자산을 어떻게 보완하고 확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 첫 시도입니다.
“AI에도 미학이 필요하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이 작업은 향후 저만의 AI 페르소나를 통한 브랜딩의 미래적 방향성을 탐구하는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As a result, Hana emerged as a persona that embodies the chic and restrained aesthetics of 1OFF.
This was more than just an experiment — it became the first attempt to explore how AI can complement and expand a brand’s visual assets.
Grounded in the premise that “AI also needs aesthetics,” this work became a starting point for exploring the future direction of branding through my own AI personas.


Next Project
Gate of Substance (2023)